본문 바로가기

문화사회로

지자체 홍보비 따가기가 지역언론의 주임무인가?

 
구미시청 출입기자가 100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신기한 일이지요.

 

인원 수만 보면 미디어의 천국인데 시민 대다수는 그 천국에 살고 있지 않으며,

 

서민층 젊은층은 시정 뉴스의 땅끝 마을에 살고 있습니다.

 

 

또한 아직도 시내 최대 유력언론은 카더라 통신이며,

 

심지어 언론보도조차 카더라통신의 연장인 사례도 보게 됩니다.

 

 IT도시답지 않게 여전히 구전문화가 압도적인 풍경을 자주 목격하게 됩니다.

 

이미 본예산에 언론홍보비가 있는데도 이번에 또 전국규모행사 홍보를 명목으로 추경예산안이 편성되어 있습니다.
집행부로서는 홍보비로 언론을 길들이는 행위를 하고 있는 것이며, 언론은 본연의 비판 기능을 상실하고 지자체 예산 따기에 빠져드는 것입니다.

기획행정위 심사에서 삭감을 요망한 의원께 파상공세가 가해지는 걸 보고 있습니다.

명심하세요. 김두관 씨가 전국 스타가 된 건 언론과의 전쟁 덕분이었고,

한 비주류 정치인도 그 과정을 통해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언론과 싸운다고 하면, 지자체 예산이 언론홍보비로 새는 걸 알면, 지지할 주민이 더 많습니다.
언론의 자유할 때 '언론'은 언론사도 아니고 기자도 아닙니다.

'말의 자유'입니다. 지자체의 언론정책은 모든 시민이 미디어가 되도록 지원하고

골목골목의 소식을 뉴스로 만드는 것이어야 합니다. 주민자치를 중심으로 하는 마을신문을 육성하면서,

기성 언론사와 마을신문의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는 일에 예산이 돌아가야 합니다.
그리고 언론사는 진실 보도에 있어 한치의 타협과 거래도 해서는 안 됩니다.

문제가 있다면, 공무원들을 괴롭히며 뭔가를 따내려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쓰고 생각한대로 비판하십시오.

"그중에 진짜 기자는 두세명뿐"이라는 이야기를 들어서야 되겠습니까.